토리
공무원연금 수령액 수령 조건 궁금하다면? 본문
공무원연금 수령액 수령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공무원연금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퇴직 후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보장받기 위해 설계된 제도인데요.
지금부터 공무원연금 수령 조건과 수령액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[목차여기]
공무원연금이란?
공무원 연금은 일반 직장인과는 좀 다릅니다. 국민연금이 아니고 공무원연금공단이 운영하는 공무원연금에 가입을 하게 되는데요.
공무원들은 재직하는 동안에 공무원연금공단에 본인 부담금 9%와 국가 부담금 9%로 해서 한달 월급의 18% 정도를 납부합니다.
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 차이점
구분 | 공무원 연금 | 국민 연금 |
대상자 | 공무원(선출직 공무원과 군인은 제외) | 일반 국민 |
보험료율 | 기준소득월액의 18% (공무원 9%, 국가 9%) | 월 소득의 9% (직장인 4.5%, 사용자 4.5%) |
평균 수령액 | 약 268만 원 | 약 62만 원 (보험연구원 자료) |
제도 운영 방식 | 특수직역연금제도 | 사회보험 제도 |
법적 근거 | 공무원연금법 | 국민연금법 |
가입 의무 | 공무원 임용 시 의무 가입 |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 의무 가입 |
공무원연금 수령 조건
공무원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이상 공무원으로 재직해야 합니다. 만약 10년 미만으로 재직할 경우, 연금 대신 퇴직 일시금을 받게 됩니다.
재직 기간 동안 매월 공무원연금공단에 기준소득월액의 18%를 기여금으로 납부해야 합니다.
공무원연금 수령 연령
공무원 연금 수급 연령 1996년 이후 임용자부터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이 되는데요.
연도 | 개시연령 | 연도 | 개시연령 | 연도 | 개시연령 |
2016년~2021년 | 60세 | 2024년~2026년 | 62세 | 2030년~2032년 | 64세 |
2022년~2023년 | 61세 | 2027년~2029년 | 63세 | 2033년~ | 65세 |
공무원 연금 예상액 조회
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에서 공무원연금 예상 수령 액을 조회해 보실 수 있습니다.
고용보험 가입 기간 이력 조회 방법 간단히 알아보자
고용보험 가입 기간 이력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아마도 직장을 한번이라도 그만두시고 실업급여를 받아본 준이라면 한번쯤 고용보험 가입 기간 이력조회를 해 보신 경험이 있을 것
alwaysstocklive.tistory.com
'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BS TV 수신료 해지 또는 안 내는 방법 , IPTV는? (0) | 2024.08.23 |
---|---|
내 근처 24시간 약국 찾는 방법 휴일 약국 찾기 (0) | 2024.08.16 |